요즘 물가에 월세까지 부담이라면, 서울시가 내놓은 ‘청년월세지원’이 진짜 반가운 소식일 텐데요!
1년간 최대 240만원, 월세 매달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해주는 이 제도,
나에게 해당될까?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?
지금부터 꼼꼼히 알려드릴게요. 놓치면 진짜 아까운 기회입니다!
2025 서울 청년월세지원, 어떤 제도인가요?
서울시는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2025년도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시행합니다.
총 15,000명을 선발해,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총 240만 원을 현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예요.
생애 1회만 받을 수 있으니 기회가 왔을 때 꼭 잡아야 합니다!
목차
신청 자격, 나는 해당될까?
다음 4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- 연령: 1985.1.1.~2006.12.31. 출생자 (신청일 기준 만 19~39세)
- 거주지: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 중인 청년 1인 가구
- 주거형태:
- 무주택자
- 보증금 8천만 원 이하
- 월세 60만 원 이하
- 단, 월세 60만 원 초과라도 ‘보증금 환산액 + 월세’가 93만 원 이하일 경우 가능! - 소득 요건:
-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- 건강보험료로 판단 (직장가입자: 127,230원 이하 / 지역가입자: 58,386원 이하)
단, 아래에 해당할 경우 신청이 가능한 지 꼭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.
- 주택 소유자, 공공임대 거주자
- 차량 시가 2,500만 원 이상 소유자
- 국민기초생활수급자, 기존 서울시 월세지원 수혜자
- 유사 정책 중복 참여자 (청년수당 등)
신청 방법은?
- 신청 기간: 2025년 6월 11일(화) 오전 10시 ~ 6월 24일(월) 오후 6시
- 신청 방법: 서울주거포털 온라인 접수
- 제출 서류:
- 임대차계약서
- 월세 이체 증빙서류
- 가족관계증명서
쉐어하우스 거주자도 개별 임대차계약이 있다면 신청 가능합니다!
선정 기준, 어떻게 뽑히나요?
신청자들은 보증금·월세 수준 및 소득에 따라 4개 구간으로 나눠 우선순위 선정됩니다.
특히, 저소득·저보증금·저월세 청년에게 더 많은 비율을 배정해 실질적인 도움이 가도록 설계되었어요.
구간 | 보증금 / 월세 기준 | 선정 인원 | 특징 |
---|---|---|---|
1 | 보증금 500만 원 이하 / 월세 40만 원 이하 | 6,750명 (45%) | 저소득 우선 |
2 | 보증금 1,000만 원 이하 / 월세 50만 원 이하 | 4,500명 (30%) | |
3 | 보증금 2,000만 원 이하 / 월세 60만 원 이하 | 2,250명 (15%) | |
4 | 보증금 8,000만 원 이하 / 월세 60만 원 이하 또는 합산 93만 원 이하 | 1,500명 (10%) |
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은?
- 월 최대 20만 원 x 12개월 = 240만 원
- 단, 계약상 월세가 20만 원 미만이면 그 금액만큼만 지급 (예: 17만 원 월세는 17만 원 지원)
첫 지급은 2025년 10월 말 예정이며, 이후 회차별로 공지됩니다.
궁금한 점은 어디에 물어보나요?
- 청년월세지원센터: 1833-2030
- 다산콜센터: 국번 없이 120
마무리하며: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!
청년 1인 가구에게 월세는 정말 큰 부담이죠.
이번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은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, 청년의 주거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입니다.
조건을 갖췄다면 꼭 신청해보세요!
⭐ 놓치면 후회하는 지원금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신청싸이트 : 서울주거포털 바로가기
추천 읽기
'공공 정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한눈에 보기! (0) | 2025.08.01 |
---|---|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7.20 |
4대보험료 신용카드로 한 번에 납부하기(정부지원 50만원 크레딧) (0) | 2025.07.10 |
7월 14일부터 신청! 소상공인 50만원 부담경감 크레딧 완벽 해설 (0) | 2025.07.03 |